본문 바로가기

어휘

'맞히다' vs '맞추다' 차이 한방 정리!

 

 

👀 '맞히다' VS '맞추다' 왜 이렇게 헷갈릴까?

한국어에서 가장 자주 혼동되는 맞춤법 중 하나가 바로 '맞히다’와 ‘맞추다’입니다.
두 단어 모두 비슷하게 들리고, 실제로 일상에서도 막 섞어서 사용하곤 합니다.

하지만!이 둘은 뜻도, 쓰임도 완전히 다릅니다.
게다가 문장을 잘못 쓰면 의미가 아예 달라질 수 있습니다.  두 단어의 뜻을 정확히 알고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맞히다' vs '맞추다' 차이 한방 정리!



🧠  1. ‘맞히다’와 ‘맞추다’의 기본 개념

 

1)  ‘맞히다’의 뜻과 올바른 사용법

1. 정답을 고르다 → 퀴즈나 문제의 답을 맞혔을 때
예: “수능 문제를 다 맞혔어!”

 

2. 예상이 적중하다 → 예측이나 감이 딱 맞을 때
예: “그가 올 줄 알았는데, 진짜 맞혔네.”

 

3. 병에 걸리게 하다 → 주로 감기, 병 등에 대해 사용
예: “비를 맞고 감기를 맞혔어.”

 

 

2)  ‘맞추다’의 뜻과 올바른 사용법

1. 시간/장비 등을 조정하다 → 시계, 알람, 기계 등
예: “시계를 6시에 맞취어.”

 

2. 일정하게 조율하거나 조정하다 → 팀워크, 호흡, 음정 등
예: “합창할 때 음을 잘 맞춰야 해.”

 

3. 목표에 명중시키다 → 화살, 총알, 농구 슛 등
예: “과녁 정중앙을 정확히 맞췄어!”

 

4. 무언가를 일치시키다 → 의견, 일정, 수치 등
예: “내 스케줄에 너를 맞춰줄게.”

 

 

✔️ 2. ‘맞히다’와 ‘맞추다’의  차이 한눈에 정리

단어 예시문장
맞히다 → 정답을 고르다 / 예상이 적중하다 / 병에 걸리게 하다 등 퀴즈를 맞혔어
맞추다 → 대상을 일치하게 하다 / 조율하다 / 맞도록 조정하다 등 시계를 맞췄어

 

 

 

 

📌 3. 자주 쓰는 예문으로 비교해 보기

 맞는 예:

  • “정답을 맞혔어.” → 퀴즈니까 ‘맞히다’
  • “시계를 7시에 맞췄어.” → 조정하니까 ‘맞추다’
  • “정확히 타이밍을 맞췄네.” → 일치하게 하다 → ‘맞추다’
  • “이번에도 네 예상이 맞혔어.” → 적중했다 → ‘맞히다’

 틀린 예:

  • “정답을 맞췄어.” → ❌
  • “농구공을 맞혔어.” → ❌
  • “스케줄을 맞혔어.” → ❌

 

 

💡 4. 자주 틀리는 상황별 예시로 구별하기

 

📚 공부/시험 관련

  • “객관식 문제를 맞혔어.” → 정답 선택 = 맞히다
  • “기출문제를 맞췄어.” → ❌ (정답 고름이므로 맞혔어가 맞음)

 

 시간/일정 관련

  • “면접 시간을 맞췄어.” → 서로 조율한 것 = 맞추다
  • “회의 시간을 맞혔어.” → ❌ (조율한 것이므로 맞췄어가 맞음)

 

🎶 음악/공연 관련

  • “음정을 정확히 맞췄어.” → 일치시키는 것 = 맞추다
  • “정확한 박자를 맞혔어.” → ❌ (호흡을 조절한 것이므로 맞췄어가 맞음)

 

🎯 게임/운동 관련

  • “과녁을 정확히 맞췄어.” → 명중시키다 = 맞추다
  • “상대의 움직임을 예상해서 맞혔어.” → 적중 예상 = 맞히다

 

 

🔁 5. 둘 다 가능한 경우? 의미에 따라 바뀌어요!

예를 들어:

  • “내 말이 또 맞았어.”
    → 이 경우는 ‘맞다’의 과거형이라 해석에 따라 맞히다 또는 맞추다 둘 다 쓰일 수 있어요.

 

  • “정답을 (맞혔다/맞췄다)”
     정답을 선택한 것이면 ‘맞히다’
     정답을 맞게 고쳐서 일치시킨 것이라면 ‘맞추다’도 문맥상 가능할 수 있어요.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정답을 맞혔다’가 일반적입니다!

 

🧠 6. 기억 공식으로 쉽게 외우기!


기억공식 예시문장
‘정답은 맞힌다’ 퀴즈를 맞혔어
‘시계는 맞춘다’ 시간을 맞췄어
‘병은 맞힌다’ 감기에 맞혔어
‘과녁은 맞춘다’ 화살을 과녁에 맞췄어

 

 

📌7. 마무리 요약: 헷갈릴 땐 이렇게!

  • 정답 = 맞히다
  • 예상 적중 = 맞히다
  • 병 걸리게 = 맞히다
  • 시간·계획·일정 조율 = 맞추다
  • 기계 조정 = 맞추다
  • 명중·정렬·일치 = 맞추다

📣 8. 마무리 한줄 요약!

“정답은 맞히고, 시계는 맞춘다!”
이 한 줄만 기억하세요! 😎

 

 

 

 

 

"이 버튼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어떻게’ VS ‘어떻해’ 헷갈린다면? 한방정리!

✅ 자꾸 헷갈리는 ‘어떻게’ vs ‘어떻해’누구나 한 번쯤 카카오톡이나 SNS에 “어떻해 ㅠㅠ”라고 써본 적 있지 않나요? 그런데 막상 맞춤법을 생각해보면 ‘어떻해’가 맞는 건지, ‘어떻게

ask-me.kr

 

‘되다’ vs ‘돼다’ 헷갈린다면? 한방 정리!

“그렇게 돼다니…”“뭔가 잘 되야 할 텐데…”혹시 이런 문장 쓰면서 뭔가 어색하다고 느껴본 적 있나요?맞습니다. 바로 ‘되다’와 ‘돼다’의 혼동 때문이죠.단어 하나 차이지만, 맞춤법에

ask-me.kr

 

'어의' VS '어휘' 차이 한방정리!

‘어의’와 ‘어휘’, 비슷하게 들리지만 뜻은 완전히 다릅니다. 이 글에서 두 단어의 정확한 의미와 쓰임을 예시와 함께 한방에 정리해드립니다!  1. ‘어의’와 ‘어휘’, 왜 헷갈릴까?‘어

ask-me.kr

 

'틀리다'VS '다르다' 차이 한방정리!

우리말을 제대로 안다고 생각했는데, 일상 속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 알고 보면 틀린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틀리다’와 '다르다’의 구분입니다.비슷한 상황에서 자

ask-me.kr

 

'다행히' vs '다행이'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다른 표현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다행히’와 ‘다행이’는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입니다.  둘 다 ‘다행’이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지

ask-me.kr

 

'갑절' VS '곱절' 차이 한방 정리!

언어를 사용하다 보면 비슷한 뜻을 가진 단어를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갑절’과 ‘곱절’은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와 사용 범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뜻과 용례를

ask-me.kr

 

'않~'VS '안' 차이 한방 정리!

한국어를 공부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않'과 '안'의 차이를 헷갈려 합니다. 이 두 표현은 발음이 비슷하지만 문장에서의 역할이 다르고 의미도 확연히 구분됩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않~’과 ‘

ask-me.kr

 

'다치다' VS '닫히다' VS '닫치다'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뜻이 전혀 다른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다치다’, ‘닫히다’, ‘닫치다’는 헷갈리기 쉬운 표현인데요. 이 세 단어는 발음도 비슷하고 문장에서 활

ask-me.kr

 

'너비' vs '넓이' 차이 한방 정리!

'너비'와 '넓이', 이 두 단어는 한국어에서 자주 혼동되는 용어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두 단어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고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너비와 넓이의 차이를

ask-me.kr

 

‘반드시’와 ‘반듯이’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한 발음과 형태를 가진 단어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반드시’와 ‘반듯이’는 헷갈리기 쉬운 표현 중 하나입니다.  이 두 단어는 겉보기엔 비슷하지만 의미와 쓰임새가

ask-me.kr

 

'부딪치다' VS '부딪히다'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을 사용하다 보면 비슷한 단어인데도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동사 중에서 ‘부딪치다’와 ‘부딪히다’는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단어

ask-me.kr

 

'~일쑤이다' vs '~일수이다' 맞는 표현은? 한방 정리!

아이가 국어공부를 하면서 질문을 했습니다. "~일쑤이다 가 맞아요?" "~일이다 가 맞아요?" 순간 헷갈렸습니다.무엇이 맞을까? 평소에 일상대화에서 많이 쓰는 말인데 막상 글로 옮기자니 어떤것

ask-me.kr

 

 

‘며칠 vs 몇일’ 헷갈린다면? 한방 정리!

한국어를 쓰다 보면 은근히 헷갈리는 맞춤법들이 있습니다.그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가장 많이 틀리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며칠’ vs ‘몇일’**입니다."오늘이 몇일이야?""그게 며칠 전 일

ask-m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