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휘

'~일쑤이다' vs '~일수이다' 맞는 표현은? 한방 정리!

 

 

아이가 국어공부를 하면서 질문을 했습니다. "~일쑤이다 가 맞아요?" "~일이다 가 맞아요?" 순간 헷갈렸습니다.

무엇이 맞을까? 평소에 일상대화에서 많이 쓰는 말인데 막상 글로 옮기자니 어떤것이 정확한 표현인지 헷갈렸습니다.

그래서 찾아보았습니다. 저같은 분들이 있으시다면 한번 같이 보시면서 정리해 보시고, 자녀들에게 자신있게 대답해 보시기 바랍니다. 

 

'~일쑤이다' vs '~일수이다' 맞는 표현은? 한방 정리!

 

 

✅ “~하기 일쑤이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 “일쑤이다”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자주 그러곤 한다”는 뜻입니다.
  • 특히 부정적인 상황에서 자주 반복되는 행동이나 습관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 구조

  • 동사 + -기 + 일쑤이다

 

✔️ 예문

  • 늦잠 자기 일쑤이다. → 자주 늦잠을 잔다는 뜻
  • 약속에 늦기 일쑤야. → 거의 매번 늦는다는 뉘앙스
  • 스트레스 받으면 폭식하기 일쑤지.

👉  "일쑤"‘자주 그러는 일’이라는 뜻의 고유어입니다.
감정이 실릴 때 더 자연스럽게 쓰여요. “하긴 일쑤지~”, “또 그랬어? 그건 일쑤네!”

 

 

❌ “~하기 일수이다”는 틀린 표현입니다

  • ‘일수’존재하는 단어이지만, 우리가 말하고자 하는 “자주 ~하는 일”이란 의미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 일수의 뜻

  1. 날짜 수 → “이번 달은 30일수이다.”
  2. 하루 수입 → “가게 오늘 일수 괜찮네.”
  3. 물이 넘침 (溢水) → “강이 일수해서 범람했다.”

👉 그래서 ‘~하기 일수이다’라는 표현은 틀린 말이에요.
표현하고 싶은 뜻에는 전혀 맞지 않기 때문이죠.

 

 

📌 '~일쑤이다' 와 '~일수이다'  한눈에 정리

 

표현 올바른 예문 틀린예문 설명
~하기 일쑤이다 밤새우기 일쑤이다. 밤새우기 일수이다. 자주 반복되는 상황 표현
~일수이다 이번 달은 31일수이다. 늦잠 자기 일수이다. 날짜 수, 수치적 의미 등

👉 반복되는 행동은 무조건 ‘일쑤이다’!

👉 ‘일수이다’는 완전히 다른 말! (날짜 수, 하루 수입 등)

📌 핵심: “~하기 일수이다”말이 안 된다!

 

 

⏳ 시제별 표현 정리


시제 표현 예문
현재 ~기 일쑤이다 늦잠 자기 일쑤이다.
과거 ~기 일쑤였다 지각하기 일쑤였다.
추측/미래 ~기 일쑤일 거야 또 늦게 자서 피곤하기 일쑤일 거야.
👉   동사 뒤에 “-기 일쑤이다”만 붙이면 됩니다!

 

 

📚 “일쑤이다” 자주 쓰이는 상황별 예시

헷갈리는 표현은 예문을 자꾸 읽고 직접 써보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아래 예시들을 활용해 직접 문장을 만들어보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1. 회사/일상

  • 회의 시간에 졸기 일쑤다.
  • 마감 직전에 급하게 처리하기 일쑤였어.
  • 급하게 먹다가 체하기 일쑤야.

2. 가족/집안일

  • 청소하자고 하면 딴청 피우기 일쑤지.
  • 엄마가 잔소리하기 일쑤야.
  • 설거지하다가 물 튀기기 일쑤였다.

3. 연애 / 인간관계

  • 연락 늦게 오기 일쑤라 짜증나.
  • 약속 장소 헷갈리기 일쑤였다.
  • 눈치 못 채기 일쑤지 뭐~

👉 “일쑤야, 일쑤지, 일쑤였다” 등 회화체 변형도 익혀두면 더 자연스럽게 쓸 수 있습니다.

 

 

 

🧠  자주 하는 실수 

헷갈리는 문장 올바른 표현 이유
아침마다 지각하기 일수이다 아침마다 지각하기 일쑤이다 자주 반복되는 행동
오늘이 며칠인지 기억 안 나서 31일쑤이다 오늘은 31일수이다 날짜 표현에는 ‘일수’ 사용
스트레스 받으면 혼자 있기 일수이다 혼자 있기 일쑤이다 반복적 상황, 감정 포함
👉 자주 반복되는 행동 → 무조건 ‘일쑤이다’
👉 날짜나 수치 → ‘일수이다’, 하지만 ‘~하기 일수이다’는 절대 X!
 

 

✨ 마무리 

평소에 대화에서 많이 쓰는 말 "~하기 일쑤이다..." 하지만 막상 글로 옮길 떄 '~일쑤? 일수?'  헷갈리는 경험을 많이 하셨을 겁니다. 저도 이번 기회에  두 표현 중 어떤 것이 정확하게 맞는 표현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표현이니 만큼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오늘부터 아이에게 정확한 표현을 자신있게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이 버튼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다행히' vs '다행이'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다른 표현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다행히’와 ‘다행이’는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입니다.  둘 다 ‘다행’이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지

ask-me.kr

 

‘되다’ vs ‘돼다’ 헷갈린다면? 한방 정리!

“그렇게 돼다니…”“뭔가 잘 되야 할 텐데…”혹시 이런 문장 쓰면서 뭔가 어색하다고 느껴본 적 있나요?맞습니다. 바로 ‘되다’와 ‘돼다’의 혼동 때문이죠.단어 하나 차이지만, 맞춤법에

ask-me.kr

 

'틀리다'VS '다르다' 차이 한방정리!

우리말을 제대로 안다고 생각했는데, 일상 속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 알고 보면 틀린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틀리다’와 '다르다’의 구분입니다.비슷한 상황에서 자

ask-me.kr

 

'맞히다' vs '맞추다' 차이 한방 정리!

👀 '맞히다' VS '맞추다' 왜 이렇게 헷갈릴까?한국어에서 가장 자주 혼동되는 맞춤법 중 하나가 바로 '맞히다’와 ‘맞추다’입니다.두 단어 모두 비슷하게 들리고, 실제로 일상에서도 막 섞어서

ask-me.kr

 

'같이' vs '갇히' 차이 한방 정리!

우리가 자주 혼동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같이’와 ‘갇히’는 발음이 비슷하고 문맥에 따라 다르게 쓰이기 때문에 특히 많이 헷갈립니다.예를 들어 이런 문장, 한번쯤 들어보셨

ask-me.kr

 

‘들르다’ vs ‘들리다’ 차이, 한방 정리!

한국어를 쓰면서도 자주 헷갈리는 단어들이 있죠. 그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들르다’와 ‘들리다’를 혼동하곤 합니다.발음도 비슷하고 상황에 따라 헷갈리는 문장도 많아서, 심지어는 맞춤

ask-me.kr

 

‘며칠 vs 몇일’ 헷갈린다면? 한방 정리!

한국어를 쓰다 보면 은근히 헷갈리는 맞춤법들이 있습니다.그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가장 많이 틀리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며칠’ vs ‘몇일’**입니다."오늘이 몇일이야?""그게 며칠 전 일

ask-me.kr

 

 

‘띄다’ vs ‘띠다’ 차이 한방정리!

한국어 맞춤법에서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띄다’와 ‘띠다’입니다. 두 단어는 발음이 같아 혼동하기 쉽지만,실제 의미나 쓰임은 완전히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띄

ask-m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