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국어공부를 하면서 질문을 했습니다. "~일쑤이다 가 맞아요?" "~일이다 가 맞아요?" 순간 헷갈렸습니다.
무엇이 맞을까? 평소에 일상대화에서 많이 쓰는 말인데 막상 글로 옮기자니 어떤것이 정확한 표현인지 헷갈렸습니다.
그래서 찾아보았습니다. 저같은 분들이 있으시다면 한번 같이 보시면서 정리해 보시고, 자녀들에게 자신있게 대답해 보시기 바랍니다.
✅ “~하기 일쑤이다”가 맞는 표현입니다
- “일쑤이다”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자주 그러곤 한다”는 뜻입니다.
- 특히 부정적인 상황에서 자주 반복되는 행동이나 습관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 구조
- 동사 + -기 + 일쑤이다
✔️ 예문
- 늦잠 자기 일쑤이다. → 자주 늦잠을 잔다는 뜻
- 약속에 늦기 일쑤야. → 거의 매번 늦는다는 뉘앙스
- 스트레스 받으면 폭식하기 일쑤지.
👉 "일쑤"는 ‘자주 그러는 일’이라는 뜻의 고유어입니다.
감정이 실릴 때 더 자연스럽게 쓰여요. “하긴 일쑤지~”, “또 그랬어? 그건 일쑤네!”
❌ “~하기 일수이다”는 틀린 표현입니다
- ‘일수’는 존재하는 단어이지만, 우리가 말하고자 하는 “자주 ~하는 일”이란 의미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 일수의 뜻
- 날짜 수 → “이번 달은 30일수이다.”
- 하루 수입 → “가게 오늘 일수 괜찮네.”
- 물이 넘침 (溢水) → “강이 일수해서 범람했다.”
👉 그래서 ‘~하기 일수이다’라는 표현은 틀린 말이에요.
표현하고 싶은 뜻에는 전혀 맞지 않기 때문이죠.
📌 '~일쑤이다' 와 '~일수이다' 한눈에 정리
표현 | 올바른 예문 | 틀린예문 | 설명 |
~하기 일쑤이다 | 밤새우기 일쑤이다. | 밤새우기 일수이다. ❌ | 자주 반복되는 상황 표현 |
~일수이다 | 이번 달은 31일수이다. | 늦잠 자기 일수이다. ❌ | 날짜 수, 수치적 의미 등 |
👉 반복되는 행동은 무조건 ‘일쑤이다’!
👉 ‘일수이다’는 완전히 다른 말! (날짜 수, 하루 수입 등)
📌 핵심: “~하기 일수이다”는 말이 안 된다!
⏳ 시제별 표현 정리
시제 | 표현 | 예문 |
현재 | ~기 일쑤이다 | 늦잠 자기 일쑤이다. |
과거 | ~기 일쑤였다 | 지각하기 일쑤였다. |
추측/미래 | ~기 일쑤일 거야 | 또 늦게 자서 피곤하기 일쑤일 거야. |
📚 “일쑤이다” 자주 쓰이는 상황별 예시
헷갈리는 표현은 예문을 자꾸 읽고 직접 써보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아래 예시들을 활용해 직접 문장을 만들어보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
1. 회사/일상
- 회의 시간에 졸기 일쑤다.
- 마감 직전에 급하게 처리하기 일쑤였어.
- 급하게 먹다가 체하기 일쑤야.
2. 가족/집안일
- 청소하자고 하면 딴청 피우기 일쑤지.
- 엄마가 잔소리하기 일쑤야.
- 설거지하다가 물 튀기기 일쑤였다.
3. 연애 / 인간관계
- 연락 늦게 오기 일쑤라 짜증나.
- 약속 장소 헷갈리기 일쑤였다.
- 눈치 못 채기 일쑤지 뭐~
👉 “일쑤야, 일쑤지, 일쑤였다” 등 회화체 변형도 익혀두면 더 자연스럽게 쓸 수 있습니다.
🧠 자주 하는 실수
헷갈리는 문장 | 올바른 표현 | 이유 |
아침마다 지각하기 일수이다 ❌ | 아침마다 지각하기 일쑤이다 ✅ | 자주 반복되는 행동 |
오늘이 며칠인지 기억 안 나서 31일쑤이다 ❌ | 오늘은 31일수이다 ✅ | 날짜 표현에는 ‘일수’ 사용 |
스트레스 받으면 혼자 있기 일수이다 ❌ | 혼자 있기 일쑤이다 ✅ | 반복적 상황, 감정 포함 |
👉 날짜나 수치 → ‘일수이다’, 하지만 ‘~하기 일수이다’는 절대 X!
✨ 마무리
'다행히' vs '다행이' 차이 한방 정리!
우리말에는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다른 표현들이 많습니다. 그중에서도 ‘다행히’와 ‘다행이’는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입니다. 둘 다 ‘다행’이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지
ask-me.kr
‘되다’ vs ‘돼다’ 헷갈린다면? 한방 정리!
“그렇게 돼다니…”“뭔가 잘 되야 할 텐데…”혹시 이런 문장 쓰면서 뭔가 어색하다고 느껴본 적 있나요?맞습니다. 바로 ‘되다’와 ‘돼다’의 혼동 때문이죠.단어 하나 차이지만, 맞춤법에
ask-me.kr
'틀리다'VS '다르다' 차이 한방정리!
우리말을 제대로 안다고 생각했는데, 일상 속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 알고 보면 틀린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틀리다’와 '다르다’의 구분입니다.비슷한 상황에서 자
ask-me.kr
'맞히다' vs '맞추다' 차이 한방 정리!
👀 '맞히다' VS '맞추다' 왜 이렇게 헷갈릴까?한국어에서 가장 자주 혼동되는 맞춤법 중 하나가 바로 '맞히다’와 ‘맞추다’입니다.두 단어 모두 비슷하게 들리고, 실제로 일상에서도 막 섞어서
ask-me.kr
'같이' vs '갇히' 차이 한방 정리!
우리가 자주 혼동하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같이’와 ‘갇히’는 발음이 비슷하고 문맥에 따라 다르게 쓰이기 때문에 특히 많이 헷갈립니다.예를 들어 이런 문장, 한번쯤 들어보셨
ask-me.kr
‘들르다’ vs ‘들리다’ 차이, 한방 정리!
한국어를 쓰면서도 자주 헷갈리는 단어들이 있죠. 그중에서도 많은 분들이 ‘들르다’와 ‘들리다’를 혼동하곤 합니다.발음도 비슷하고 상황에 따라 헷갈리는 문장도 많아서, 심지어는 맞춤
ask-me.kr
‘며칠 vs 몇일’ 헷갈린다면? 한방 정리!
한국어를 쓰다 보면 은근히 헷갈리는 맞춤법들이 있습니다.그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가장 많이 틀리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며칠’ vs ‘몇일’**입니다."오늘이 몇일이야?""그게 며칠 전 일
ask-me.kr
‘띄다’ vs ‘띠다’ 차이 한방정리!
한국어 맞춤법에서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띄다’와 ‘띠다’입니다. 두 단어는 발음이 같아 혼동하기 쉽지만,실제 의미나 쓰임은 완전히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띄
ask-me.kr
'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며칠 vs 몇일’ 헷갈린다면? 한방 정리! (1) | 2025.04.21 |
---|---|
‘들르다’ vs ‘들리다’ 차이, 한방 정리! (0) | 2025.04.16 |
'같이' vs '갇히' 차이 한방 정리! (0) | 2025.04.14 |
‘잊다’ VS ‘잃다’ 차이 한방정리! (1) | 2025.04.13 |
'맞히다' vs '맞추다' 차이 한방 정리! (0) | 2025.04.09 |
‘어떻게’ VS ‘어떻해’ 헷갈린다면? 한방정리! (0) | 2025.04.08 |
‘되다’ vs ‘돼다’ 헷갈린다면? 한방 정리! (0) | 2025.04.08 |
'어의' VS '어휘' 차이 한방정리! (0) | 2025.04.06 |